개념 이해
1. 연금저축
- 노후대비를 위한 개인연금의 한 종류
- 은행, 보험사, 증권사에서 가입
- 최소 5년 이상 납입
-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으로 수령 (수령 시 연령별 연금소득세 부과)
- 10년 이상 기간동안 수령
- 누구나 가능 : 나이제한 X 소득제한 X
→ 직장인이 아닌 소득이 없는 주부, 학생 모두 가능 - 장기 투자에 적합
🙋🏻♀️ '세액 공제'란? 세금을 줄여주는 것
소득공제가 세금을 매길 소득을 줄이는 것이라면 세액공제는 이미 산출한 세액을 줄여주는 것
✅ 특징
1) 세액 공제
: 연말 정산에서 활용
- IRP와 달리, 소득에 따라 공제 가능한 세금의 한도가 다름
- 연 600만원까지 세액공제
- 23년 세제 개편안으로 더 많은 금액 공제 가능
2) 과세 이연
: 투자수익 (연금계좌의 꽃🌼)
- 배당주 투자 시 유리
: 세전으로 배당금 입금, 이를 전액 재투자 가능 → 일반계좌와 장기투자 비교 시 어마어마한 복리의 차이! - (예시) 500만원 배당
해외직접투자 배당 소득세(75만원) 425만원 받음 → 해외직접투자
연금저축 배당 소득세 없이 배당금 500만원 그대로 받음 → 돈을 불린 후 나중에 수령할 때 연금소득세 5.5%만 내면 됨
3) 분리 과세
: 종합과세 (누구나)
- 연금저축: 5.5% 연금소득세
- 직장이 있다면 근로/사업소득세 49.5%
- 세금 구간이 높아질 것 같으면 신청(5,000만원 이상 → 24% 적용 → 16.5%보다 손해이므로 신청해야 이득)
- 분리 과세 세율: 16.5%
- 소득에 따라 6.0~49.5%
4) 인출 가능 여부
- 해지가 아닌 중도인출 가능
ex. 무주택자 주택구입, 전세보증금 등 중도인출 사유로 인정 가능 - but 중도인출 시, 세액공제 받은 적립금이나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(16.5%)부과
5) 투자 유형
- 현금, 펀드, ETF, 리츠
- 위험자산 100% 투자 가능
2.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- 퇴사 또는 퇴직하는 직장인 필수(22년 이후, 퇴직금을 IRP 계좌로만 지급하도록 법 개정)
- 누구나 가입 불가: 나이제한 X 소득제한 O
- 여러 증권사에서 개설 가능
- 최소 5년 이상 납입
-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으로 수령 가능 (일시불X)
- 10년 이상 기간동안 수령
- IRP계좌의 퇴직금 사용을 위해서는 계좌 해지 필요 (또는 가지고 있다가 55세 이후 연금, 일시금으로 수령)
✅ 특징 (연금저축과 동일)
1) 세액 공제: 연말정산
2) 과세 이연: 투자수익
3) 분리 과세: 종합과세 (누구나)
4) 인출가능여부: X
5) 투자유형: 현금, 펀드, ETF, 리츠 + 예금, RP, ELS
*위험자산(주식 등) 70% 안전자산 30% 필수
1+2. 연금저축 + IRP
- 연금저축 + IRP 합산한 연금 납입 한도: 1800만
1) 세액 공제한도 900만 = 연금저축 600만 + IRP 300만
2) 추가납입 900만 (공제받는 금액 아니므로, 자유로운 인출 가능) - 연금 수령 시 연금 총자산 = (1) 공제받은 원금 (2) 공제받지않은 원금 (3) 수익금
(1), (3) 수령 시 연금소득세. 한도 금액 1500만 (만 55세)
(2) 비과세. 언제든 인출 가능 → 활용도 매우 높음
(1) 연금계좌 해지 시 기타소득세 16.5% 없음. 받은 혜택이 없으므로 뱉어낼 거 없는..
(2) 연금수령 금액 1,500만원 한도에 미포함
(3) 연금수령 시 연금소득세 5.5% 없음
➞ 돈 굴릴 때 수익금 외 원석에 대해서는 세금을 안떼는 큰 장점
55세 이후 받는 순서: 공제X > 퇴직금 > 공제O > 수익금 - 연금 소득세
- 55~69세: 5.5%
- 70~79세: 4.4%
- 80세 이상: 3.3%
➞ 연금은 길게 놓고 받을수록 혜택이 커짐
✅ 연금저축 vs IRP 차이
연금저축 | IRP | |
가입자격 | 누구나 가능 | 소득있는 사람 |
세액공제한도 | 연 600만 | 연 900만 |
납입한도 | 연 1800만 | 연 1800만 |
투자가능상품 | 펀드, ETF, 리츠 | 연금저축 + @ |
상품제한 | 없음 | 주식형 70%이하 |
일부인출 | O | X |
3. ISA (개인 종합자산관리 계좌 Individual Savings Account)
*요즘 핫한 계좌🔥 절세 혜택 강화되고 납입한도 x2 비과세한도 x2.5
- 19세 이상 누구나 가입 가능
- 모든 증권사 통틀어 한 군데에서만 개설 가능
- 금융종합소득과세자는 개설 불가
- 최소계약기간 3년 (연장 가능)
- 내 집 마련, 결혼자금 같은 중장기 자금 목적에 적합
- 만기된 ISA의 금액을 연금저축/IRP 전환 시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음(납입금액의 10%, 한도 300만)
✅ 특징
1) 세금 할인
- 해지 시 일괄처리
- 수익 500만원 세금X
- 나머지 9.9% 적용
2) 다양한 투자 가능
- 현금, RP, ELS, 펀드
- 리츠, ETF, 인프라펀드
- 국내주식
ex. 국내 배당주 투자(SK텔레콤, 하나금융그룹)할 경우
(일반계좌) 1000x15.4% = 154만
(ISA계좌) 1000 - 500 = 500x15.4% = 50만 (104만원 gap)
3) 인출 가능 여부
- 원금은 언제든지 자유 출금 (패널티 없음)
- 단, 인출하는 순간 운영할 수 있는 돈이 줆어듦 (인출한만큼 한도가 줄어드는 개념)
✅ 장점
1) 국내 배당기업 투자 가능
2) 국내 ETF
3) 인프라 펀드 (맥쿼리 등)
ASIS | TOBE | |
납입한도 | 연 2,000만원 (2,000만 x 5년 = 총 1억원) |
연 4,000만원 (4,000만 x 5년 = 총 2억원) |
비과세한도 | 200만원, 서민형 400만원 | 500만원, 서민형 1,000만원 |
가입대상 | 금융소득종합과세자 가입 불가 | 금융소득종합과세자 가입허용(단, 비과세 대신 14% 분리과세 혜택 적용) |
배당금 2,000만원인 경우 | 2000 - 200(비과세) → 1800 x 9.9% → 178.2 만 |
2000 - 500(비과세) → 1500 x 9.9% → 148.5 만 (30만원 save) |
비교 정리
1+2+3. 연금저축과 ISA
각 혜택을 최대 활용하는 투자 금액(1년 기준)
ISA 4000만 + 연금저축 600만 + IRP 300만
333만 + 50만 + 25만 = 총 408만
→ 연 408만 = 월 34만원
✅ 직접투자 vs ISA vs 연금(+IRP)
✅ SCHD 월50만 5년 간 투자 (수익률 11%)
방법1. 해외직투: 수익 비과세 250만+22% + 배당세 15% = 58만
방법2. ISA: 비과세 500만원 + 9.9% = 90만
방법3. 연금저축: 3.3%~5.5% = 243만
✅ SCHD 월 50만 5/10/15년 투자
✅ SCHD 월 100만 5/10/15년 투자 (적립식)
✅ SCHD 2억원 5/10/15년 투자 (거치식)
➞ 무조건 절세에 ISA, 연금저축이 좋은 것만은 아님
금액과 기간에 따라 직접투자가 나을때도!
결론
현실적인 투자 상황에 따라 다르게 활용하기
case1. 국내 배당주 투자 ➞ ISA
case2. ETF(S&P 500 등) 투자 ➞ (장기투자 목적: 과세이연, 낮은세금) 연금저축 또는 (중단기투자 목적: 빠른 인출) ISA
case3. 해외주식 ➞ 해외 직접 투자
✔️ 내가 투자할 종목을 고르고, 계좌를 선택하기
✔️ 세금 때문에 반대로 계좌를 선택하고 투자하지 말기
✔️ 기간과 목표에 따라 투자하기
연령별 계좌 전략
2030대 → 100만원 투자
1) 연금저축(노후준비, 30년): 30만
- 투자종목: S&P 500, 나스닥100, SCHD, 채권, 금
2) ISA(결혼+집, 10년): 70만
- 투자종목: 나스닥100, SCHD, CIBR, 애플, 테슬라, 리얼티인컴, 채권
➞ 투자 목적에 따라 포트폴리오가 달라야 함
4050대 → 150만원 투자
1) 연금저축(노후준비, 20년): 50만
2) 해외직투(자녀교육, 3년): 50만
3) ISA(금융소득, 10년): 50만
➞ 내가 가지고 있는 자산 중 현금화 소득, 금융 소득 파악이 필요함
6070대 → 50만원+목돈
1) 해외직투(소비충당, 5년): 50만
2) ISA(노후준비, 10년): 50만
3) 연금저축(장기수령, 20년): 거치식
개인적인 나의 투자 전략
여러 경제 유튜버와 글 속에서 개념에 대해서 어느정도 이해하고 조언들을 조합한 결과..
1. 연금저축 (노후 준비용) 월 10만
: 연차가 쌓이면 금액 늘릴 예정, 연금저축과 IRP는 55세 이후까지 묶여도 되는 돈으로 간주
2. IRP (퇴직 준비용) 월 0~10만 (통장 잔고에 따라 변동)
: 젊을 때는 많이 안넣는 게 좋은 것 같음
3. ISA (세제혜택 좋으니 한번 해보는걸로) 소수점 거래로 월 20
: 혜택도 늘어나고 있고 중단기 자금으로 괜찮은 것 같음
4. 해외직투 (현재 배당 수익용) 월 30+@ (여유되면 더 넣기)
(단, 매년 250만원 비과세 혜택은 직접 팔아서 챙겨야 함)
해외직투는 월 15만씩 ETF를 이미 하고 있으니 금액을 좀 더 높이고
연금저축은 새로 개설해서 매월 쪼금씩 납입하고
ISA는 언제 개설했는지 기억도 안나는 계좌 다시 살펴보고 새로 개설해서 해외주식형ETF 투자할 예정 !
주변에 금융 지식 빠삭한 분은 주거래 은행에서 개설하라곤 하는데 투자 목적이면 좀 더 살펴보고 증권사로 해야겠다
모두들 적게 일하고 손해보는 것 없이 많이 벌길... 💸
출처 및 참고
https://youtu.be/XhfYczTDUFE?si=W9nUtP4zq2EeogQx
https://youtu.be/vYNggP6tmgY?si=MpfXvMhqmWu0IRxn
https://youtu.be/CW1tICnKucs?si=96qB1g7-UP1lalOU
연금저축의 개념과 종류 | 뱅크샐러드
www.banksalad.com
https://www.kakaobank.com/bank-story/125
노후 대비하고 싶다면? 연금저축 vs 개인형퇴직연금
금융생활 가이드
www.kakaobank.com
https://www.shinhansec.com/siw/pension/saving-info/saving_ann_account1/view.do
신한투자증권 [d23]
연금저축이란? 다양한 펀드와 ETF를 하나의 계좌에서 자유롭게 운영하는 연금저축 세제혜택도 받고,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하는 안정적인 노후생활보장을 위한 상품입니다. 연금저축 연금저
www.shinhansec.com
댓글